7월 16일, 금강산 복합유산 등재
내년 위원회 개최지로 부산 확정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장국 불가리아, 이하 위원회)가 7월 16일 성황리에 폐막됐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문화유산 21건, △자연유산 4건, △복합유산 1건 등 총 26건의 유산이 새롭게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됐다. 이번 결과를 반영하면 현재까지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는 170개국의 총 1,248건(문화유산 972건, 자연유산 235건, 복합유산 41건)의 유산이 등재된 것으로 집계된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유산 자문기구로부터 당초 보류(Refer), 반려(Defer), 등재 불가(Non-inscription) 권고를 받았던 15건의 유산 중 11건이 위원회에서 등재 결과를 받았다. 이 중 아랍에미레이트의 <파야 고고경관>은 당초 등재불가 판정을 받았음에도 위원회에서 등재가 최종 승인된 사례다. 반면, 네팔의 〈틸라우라콧-카필라바스투, 고대 샤카 왕국의 고고유적〉등 4건은 자문기구의 권고에 따라 세계유산 등재가 보류되거나 반려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대한민국의 〈반구천의 암각화〉가 등재됐다. 〈금강산〉은 북한의 최초의 복합유산이자 세 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돼 이번 위원회에서 유일하게 등재된 복합유산으로 이름을 남겼다. 그 외에도 중국의 〈서하 황릉〉, 인도의 〈마라타 군사경관〉 등 총 10건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등재됐다.
신규 등재 외 기존 등재 유산인 모잠비크·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이시망갈리소 습지공원 - 마푸토 국립공원〉과 라오스·베트남의 〈퐁냐케방 국립공원 - 힌남노 국립공원〉의 유산 경계 변경이 승인됐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총 248건의 유산 보존 상태가 보고되었으며, 분쟁, 기후변화, 외래종 유입 등 다양한 위협이 제기됐다. 특히 이집트의 〈아부 메나 그리스도교 유적〉, 리비아의 〈가다메스 옛 시가지〉, 마다가스카르의 〈아치나나나 열대우림〉은 국제사회의 기술 및 재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보존상태가 개선돼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목록’에서 해제됐다. 이는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전 세계 공동의 노력의 결과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국내 전문가들과 긴밀히 협력하는 가운데 세계유산의 등재, 보존, 정책 의제 등 다양한 의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위원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보존의제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문제 관련 지속적인 권고사항 이행을 위한 노력 필요성과 함께 이 문제에 대한 위원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강조했다.
또한, 외교부와 국가유산청은 7월 13일 ‘갈등 해결과 평화 구축을 위한 유산 해석의 원칙과 실천’을 주제로 한 부대행사를 공동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장을 포함해 120여 명의 세계유산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위원회에서 2026년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를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하기로 최종 결정됐다. 이와 관련 국가유산청은 성공적인 세계유산위원회 개최를 위해 관련 부처, 지자체 등과 적극 노력해 나갈 방침이다.
-김종만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