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한국불교연구원(원장 이주형)은 9월 24일부터 10월 22일까지 오후 6시 30분~9시 4주간(추석 연휴 제외) ‘동아시아불교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동아시아불교의 창시자들’ 이라는 주제로 2025년 세 번째 원효학당 강좌를 개최한다.이번 강좌는 동아시아불교의 탄생을 다룬다. 상반기 강좌에서는 동아시아에 전해진 불교가 번역승과 학승의 치열한 노력으로 중국화한 첫 장면을 비롯해 정착 과정을 여행했다. 구마라집 스님과 보리유지 스님은 번역을 통해 인도불교와는 다른 형태의 불교가 성립할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승랑과 원효는 이를 바
학술
김종만 기자
2025.09.29 10:27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소장 차차석 교수)는 10월 24일 오후 1시 30분 학내 호운관에서 ‘선차의 발생과 전개’를 주제로 제26차 추계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이날 세미나는 △차문화의 발생과 전개(위위에 중국만리차도학원 총장) △국청사의 천태차와 유석도의 융합(예원상 하이난 과기직업대학 고급연구원) △선차에 응용된 중국불교 예술(장똥 하이난 과기직업대학 고급연구원) △조주선사 ‘끽다거’의 종교 미학(양정연 한림대 교수) △한국불교 선차시에 나타난 종교 미학(전영숙 연세대 중국연구소 연구원) 등의 발표로 진행될 예정이다.
학술
김종만 기자
2025.09.29 10:25
-
-
-
-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소장 고영섭)는 ‘제4기 인문석학 고전강좌 과정’을 개설하고 신입생을 모집한다.이 강좌의 원서교부 및 접수는 3월 13일까지이다. 제출서류는 증명사진을 첨부한 입학지원서 1부이다. 이메일(hanbulyeon@hanmail.net)로 접수 받는다. 모집인원은 40명 내외이다. 교육기간은 3월 18일부터 6월 24일까지이다. 매주 화요일 오후 7~9시 동국대학교 혜화관 307호에서 강의가 있다.강의 프로그램은 △성유식론 다시 읽기(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명예교수) △세계철학사(이정우, 경희대 사이버대 교수
학술
신위현 기자
2025.02.05 09:28
-
정각사학술원(원장 정엄 스님)이 불교학 관련 연구자를 2월 1일부터 20일까지 공개 모집한다.지원서류는 이메일(so000113@naver.com)을 통해 접수하며 2월 27일(목) 오후 1시 정각사(경기도 군포시 산본로 323번길 20-21, 거성 3차 6F) 학술원 상담실에서 면접을 거쳐 선발한다.지원서류는 신청서, 박사학위 소지자는 학부, 석· 박사 졸업증명서와 박사학위증 사본, 박사 과정자는 재학증명서, 연구계획서, 경력 및 연구실적 목록, 불교신행 계획서 등을 PDF파일로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정각사학술원은 박사학위를 취득하
학술
김종만 기자
2025.01.31 12:35
-
-
사단법인 세계불학원(원장 문기조)은 《세계불학》 제6권에 실릴 논문을 모집하고 있다. 원고지 분량은 120~ 150매 내외이고, 4월 30일 마감이다. 투고 자격은 따로 제한이 없다.불교에 관련된 주제 모두 가능하며 논문 제출 전 세계불학원에 사전 문의 후 홈페이지(세계불학원.org)를 통해 투고하면 된다. 게재 기준은 기획논문 포함 선착순 8편이다. 논문 심사 후 투고료 20만 원이 지급되고 게재되면 게재료 80만 원이 지급된다.세계불학원은 인류의 성자 붓다의 교학을 학문과 수행의 제일로 삼아 학문을 하며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는
학술
신위현 기자
2025.01.07 14:58
-
-
-
-
-
-
-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소장 고영섭, 동국대 교수)는 《한국불교사연구》 제26호에 수록될 불교사학, 불교철학, 불교문화(불교문학과 예술, 건축 등 포함) 원고를 모집한다.투고 방법은 한국불교사학회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http://www.kbhi.or.kr을 이용하면 된다. 투고 마감은 11월 30일 오후 12시까지이다. 논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120~150매 이내, 최대 180매를 초과할 수 없다.한편 한국불교사연구소는 11월 16일 오후 1시 동국대학교 법학만해관 163호 멀티미디어 강의실에서 ‘나말여초 구산선문
학술
신위현 기자
2024.10.17 09:38
-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소장 고영섭)가 제3기 ‘인문석학 고전강좌 과정’을 개설한다.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7~9시, 동국대학교 혜화관 307호에서 진행한다. 원서는 9월 23일까지 hanbulyeon@hanmail.net 로 접수하면 된다. 모집인원은 40명 내외이다.이 강좌는 ‘인문학의 효능성을 아는 이’ 누구나에게나 열려 있다.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명예교수의 《성유식론》 다시 읽기 (3) 요별경식과 51가지 심소, 오태석 동국대 중문과 명예교수의 은유와 유동의 기호학 《주역》, 정재서 이화
학술
신위현 기자
2024.09.04 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