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택수 시인.
손택수 시인.

 

I was born

요시노 히로시

분명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은 무렵이었다.

어느 여름날 저녁, 아버지와 함께 절 경내를 걷고 있을 때, 푸른 저녁 안개 속에서 떠오르듯이 하얀 여자가 이쪽으로 다가왔다. 나른하고 천천히.

여자는 몸이 무거워 보였다. 아버지의 눈치를 살피면서도 나는 그녀의 배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머리를 아래로 향한 태아의 유연한 움직임을 배 언저리에서 연상하며 곧 세상에 태어날 그 신비에 사로잡혀 있었다.

여자는 지나갔다.

소년의 상상은 비약하기 쉽다. 그때 나는‘태어난다’는 것이 확실히 수동태인 의미를 불현듯 이해했다. 나는 흥분해서 아버지에게 말했다.

“역시‘I was born.’이네요.”

아버지는 의아한 표정으로 내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나는 되풀이해 말했다.

“‘I was born.’이라는 것, 수동형이에요. 정확히 말하면 인간은 태어나지는 것이에요.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그때 아버지는 어떤 놀라움을 느끼며 아들의 말을 들었을까. 아버지의 눈에는 나의 표정이 그저 순진하게만 비쳤을까. 그것을 짐작하기에는 나는 아직 너무 어렸다. 나에게 있어서 그것은 단순한 문법상의 발견에 지나지 않았으니까.

아버지는 잠시 말없이 걷다가 뜻밖의 이야기를 했다.

“하루살이라는 벌레는 태어나서 이삼일 만에 죽는다는데, 그러면 도대체 무엇을 위해 세상에 나오는 것인가, 그런 것이 무척 궁금했던 적이 있었지.”

나는 아버지를 쳐다보았다. 아버지가 말을 이었다.

“친구에게 그 얘기를 했더니 어느 날 이것이 하루살이 암컷이라며 확대경으로 보여 주었어. 설명에 의하면 입은 완전히 퇴화해서 먹이를 섭취하는 데 적합하지 않고, 위를 절개해 봐도 들어 있는 것은 공기뿐. 들여다보니 그 말 그대로였어. 그런데 알이 뱃속 가득 충만해 있어서 홀쭉한 가슴 부분까지 꽉 차 있었어. 그것은 마치 현기증 나도록 반복되는 삶과 죽음의 슬픔이 목구멍까지 차올라 있는 것처럼 보였어. 외로운 빛의 알들이었지. 내가 친구 쪽을 돌아보며 알이라고 하자 그도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어.‘안타까운 일이군.’그 일이 있고 얼마 안 되었을 때였다. 네 엄마가 너를 낳고 곧바로 세상을 떠난 것은.”

아버지의 그다음 말은 더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하나의 통증처럼 아프게 내 뇌리에 꽂힌 것이 있었다.

홀쭉한 어머니의 가슴팍까지 숨 막히도록 가득 채우고 있던 나의 하얀 육체.

(《일본현대대표시선》, 2018, 창비)

*

긴 시다. 길지만 찰나의 각성이 있다. 산문과 시의 물리적 경계를 넘어서 가슴을 향해 육박해 들어온다. 그것은 하루살이의 삶과 같다. 지상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생물이 된 하루살이의 비결은 주어진 찰나를 생명의 가장 근원적인 소명인 번식을 위해 초점화한 데 있다. 먹고 사는 일로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 입을 퇴화시켜버린 독기는 배를 비워 알을 하나라도 더 품기 위함이다. 인구절벽 시대의 뼈아픈 우화가 아닌가. 배뿐만 아니라 가슴팍까지 가득 들어찬 알들과 어머니의 뱃속을 숨 막히도록 채우고 있던 나의 흰 육체의 비유는 그 자체로 서늘한 충격이다. 탄생을‘I was born’의 수동형으로 이해한 소년에게 어머니의 희생 서사는 삶을 거룩한‘통증’으로 만든다. 수동형의 삶이 마냥 수동일 수만은 없다는 전언이 아버지의 숨은 뜻이었으리라. 벗어날 수 없는 유전을 반복하는 하루살이는 그 어느 생명체보다 창조적인 종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작홍사용문학관 관장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