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불교평론>이 94호 특집으로 ‘함께 돌아봐야 할 소수자의 인권’을 다뤘다. 이 특집논단은 우선 현시대에 나타나는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거기에 맞는 불교적 삶과 정신은 무엇인지 살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 세분화된 주제 역시 눈길을 끈다. △소수자 차별의식 극복을 위한 학교교육 △우리 곁의 난민, 우리 곁의 이웃 △이주민과 다문화 가족 문제의 불교적 대응 △불교, 성소수자를 품다 등을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현시대에 어떻게 유용하게 적용할 것인지 살펴보는 것이어서 큰 반향을 부르고 있다고 한다. 어느 시대에든 삶의 방식과 대중들의 정신을 반영하는 ‘코드’가 숨어있다. 이 ‘코드’를 읽어내지 못하는 종교는 종교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조선시대 말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는 민초들의 ‘코드’를 불교계는 읽지 못했다. 결국 민족불교라 자처하면서도 희망을 던져주는 어떠한 역할도 하지 못한 체 대중들로부터 외면을 당했던 것이 좋은 예다.

이번 <불교평론> 94호 특집은 시대의 ‘코드’를 읽고 대중들에게 불교적 대응책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의 삶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자 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무엇보다 사회로부터 외면 받고 소수자라는 이유로 공존의 삶에서 벗어나야 한다면 불행한 일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고민을 공식화 한 것은 박수 받아 마땅하다. 다만 걱정되는 것은 ‘삶의 문제’를 논의했음에도 그저 ‘논단’으로만 그치고 마는 게 아니냐는 걱정이다. 특집을 통해 밝힌 대안을 대중에 알리고 실천하는 교계의 활발한 움직임이 뒤따랐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구시, 종교화합자문위 재설치해야

홍준표 대구시장이 발의한 ‘시립예술단 종교화합자문위원회’ 폐지를 담은 조례 개정안이 6월 30일 대구시의회에서 가결됐다. 이는 개정안이 통과될 시 초래할 수 있는 종교 갈등에 우려를 표명하고,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친 후 개정을 추진할 수 있도록 유보를 요청한 불교계를 철저히 무시한 처사다.

공립합창단으로 종교적으로 중립을 지켜야 하는 의무를 지닌 대구광역시 시립예술단은 과거 공연 곡 중 대다수가 기독교 찬양적인 곡이었다. 대구 시민사회와 불교계가 성가대 역할이 아니라 시립합창단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지길 요구했음에도 시립합창단은 더 노골적으로 특정 종교 찬양곡을 공공영역의 무대에서 공연하는 편향성을 보여왔다.

이에 불교계는 2013년부터 자료 조사를 통해 종교 편향 공연 사례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고, 당시 권영진 대구시장이 사회통합과 종교화합을 위해 2021년 12월 종교화합자문위원회 설치조례를 개정해 운영했다. 하지만 홍준표 시장은 종교화합자문위원회가 예술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 등으로 어떠한 후속 조치도 없이 ‘자문위원회 폐지’를 발의하고 가결되도록 했다. 이제 자문위원회 폐지로 시립합창단의 퇴행과 종교 간 차별에 대한 그 어떠한 방지책도 없는 상태다.

종교화합과 사회통합은 모든 공직자가 앞장서 실행해야 할 과제다. 대구시는 이른 시일 내에 종교화합자문위원회를 재설치하고 관련 조례를 즉각 제정해야 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또다시 대구시립합창단을 포함한 대구시 산하기관에서 종교 편향적 행위가 발생해 종교 간 갈등과 대구시민의 정서적 불편함이 가중될 경우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