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7일을 기점으로 제27대 총무원장 임기가 끝나고 새로이 제28대 총무원장의 임기가 시작됐다. 27대 총무원장 호명 스님은 종단 내홍을 딛고 들어서 종도들의 염원이랄 수 있는 종단의 안정화를 꾀했다. 이러한 안정적 토대를 기반으로 종도들의 전폭적인 동참하에 북한산 태고사 종단 인수불사를 완수했다. 종단의 안정은 어떠한 불사도 이루어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해줬다.

제28대 총무원장 상진 스님은 27대 총무원 집행부가 출범하는 데 매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종단에 대한 남다른 애종심과 공심이 지금의 종단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나아가 총무원 문화 ․ 교무부장을 비롯한 종단 소임과 중앙종회의원, 동방불교대 교학처장 등 입법활동과 다양한 행정경험은 종단을 운영하는 데 큰 자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단안정을 이룬 현 시점에서 제28대 총무원 집행부에 거는 종도들의 기대가 큰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총무원장 상진 스님은 종단발전을 위한 미래비전의 밑그림을 완성해 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를 하나하나 실현해 나가기 위한 시스템과 인적구성도 마쳐놓았다고 한다.

우리는 제28대 총무원 집행부가 이루고자 하는 각종 불사들이 원만히 성취되길 바란다. 그러기 위해선 관망적인 자세는 지양해야 한다. 적극 지원하고 동참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그럴 때 종단발전과 대외적 위상이 격상될 수 있다. 이의 완성과 실패는 온전히 종도들의 참여여부에 달려 있다. 총무원장 상진 스님이 내세운 공약의 실현이 곧 종단발전의 현실화인 것이다. 종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촉구한다.


티베트 인권 발언 신중했어야

티베트관광문화국제박람회는 중국이 1951년 티베트를 강제병합한 후 ‘인권 탄압’ 비판을 피하려고 만든 행사다. 당연히 서방국들은 물로 우리의 여당 의원들도 불참했다. 그런데 인권·약자를 강조하던 민주당이 중국이 댄 경비로 참석하면서 정작 티베트인들의 인권은 외면한 채 중국 관제 행사에 들러리를 선 셈이 됐다. 게다가 귀국 후 부적절한 발언으로 논란이 일자 유감을 표한 불교계에 뒤늦게 사과했다.

한 의원은 라디오방송에서 티베트 인권탄압과 관련한 질문에 “잘 모른다. 1951년, 1959년에 있었던 일”이라며 “지금은 관광과 문화를 통해 엑스포를 하는 곳에 초청받아서 간 것”이라고 했다. 다른 어느 의원은 “70년 전인 1959년에 티베트에서 있었던 내용을 부각하면서 외교가에서 얘기하는 것이 과연 국익에 도움이 되는가”라고 방송에서 둘러댔다.

세월이 흘렀다고 티베트 인권 문제가 끝난 것이 아니다. 조계종중앙종회에 따르면 불과 2달 전인 4월에 G7 외교장관 회담 공동성명문에서 티베트 자치구 인권 유린 행위 중단을 촉구했고, 2009년 이후 티베트 독립을 호소하며 분신해 숨진 이들이 159명에 달한다는 보고도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그 의원들의 말은 전후 맥락을 모르고 들었을 때 지금은 마치 티베트에 인권문제가 없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

일본에 있는 티베트대표부는 한 국내언론에 보낸 서한에서 “한국 지도자들의 무지한 발언은 티베트인과 티베트 지지자, 세계 불교계에 깊은 상처를 줬다”며 “민주당 의원들은 티베트인 고통에 관심을 갖고 발언에 좀 더 책임감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공인의 발언은 신중해야 한다. 티베트인들의 눈물을 닦아줄 진심 어린 사과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