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은 수확(收穫)의 계절이자 조락(凋落)의 계절이다. 산야가 황금빛으로 출렁이는가 싶으면, 어느새 나무들은 가지의 고엽들을 모두 떨어뜨리고 나목이 된다. 이는 밤하늘을 밝히던 한가위 보름달이 사위어서 초승달이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벽암록》제27칙은 체로금풍(體露金風)의 화두이다.

이 화두는 한 스님이 “나무가 마르고 잎이 떨어질 때는 어떠합니까?”라고 묻자, 운문 선사가 “체로금풍이다.”라고 답한 것에서 기인한다.

나무를 가렸던 무성했던 이파리들이 가을바람에 모두 떨어지고 나면 나무는 비로소 자신의 본래면목을 드러내게 된다. 체로금풍이 주는 교훈은 다름 아닌 버림과 비움이다. 사람은 누구나 모든 허례허식을 버릴 때 초심으로 돌아갈 수 있고, 마음속의 모든 집착을 비울 때 더 큰 자유를 얻을 수 있다.

제행무상(諸行無常) 시생멸법(是生滅法)
생멸멸이(生滅滅已) 적멸위락(寂滅爲樂)

《열반경》의 사구게(四句偈)이다.

세상의 모든 존재와 현상은 무상(無常)하나, 생사를 좇는 미혹한 마음이 사라지면 생멸(生滅)은 절로 사라지고 그러면 그 순간 적멸(寂滅)은 즐거움이 된다.

미당 서정주의 <푸르른 날>에 ‘초록이 지쳐 단풍 드는데 눈이 나리면 어이하리야 봄이 또 오면 어이하리야’라는 구절이 있다. 초록이 지치면 단풍이 들고, 머지않아서 눈이 내릴 것이다. 하지만 산야의 눈이 녹고 새싹이 돋는 봄은 도래할 것이다. ‘초록이 지쳐 단풍이 든다’는 표현은 여름에서 가을로의 이행을, ‘눈이 내리면 어이하리야 봄이 또 오면 어이하리야’는 겨울에서 봄으로의 이행을 뜻한다. 짧은 시구 안에 사계를 다 담고 있는 것도 놀랍고, 영원할 것 같은 청춘의 꽃이 언젠가는 진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것도 놀랍다.

이처럼 이 세상의 모든 존재와 현상은 무자성(無自性)이니 인연 따라 변할 따름이다.

체로금풍의 계절, 불자들이 할 일은 나무가 하나하나 잎사귀를 떨구듯이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마음인 삼독심(三毒心)을 모두 떨치고 텅 비어서 외려 충만한 지혜를 지니는 것이리라.

-소설가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