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사위국의 기원정사에서 설법하실 때의 일이다. 나이 육십에 달하도록 득도하지 못한 바라문이 있었다. 대체로 바라문의 법규에는 육십세가 되도록 득도하지 못하면, 일가를 이뤄야 했으므로 집으로 돌아갔다. 그는 일가를 이루고 아들을 두었다. 아이는 성장함에 따라 더욱 영특하고 총명했다. 일곱 살 때 이미 제서(諸書)를 읽고 외웠으며, 또한 말 재주가 뛰어났다. 그런데 우연히 병을 얻어 시름시름 앓기 시작하더니 며칠 뒤엔 그만 죽어버렸다.아버지인 늙은 바라문의 비탄은 보기에도 민망할 정도였다. 그는 죽은 자식의 싸늘한 시체 위에 엎드려 울부짖다가 그만 기절해 버렸다. 사랑하던 외아들을 잃어버린 바라문은 염마왕에게로 가서 죽은 아들을 되찾아 오리라고 결심했다. 그는 목욕 재계하고 향화등을 가지고 집을 나섰다. 그는 가는 곳곳마다 염마왕의 소재를 물어보면서 수천리를 걸어갔다. 그러던 중 득도한 바라문에게 염마왕의 소재를 알고 강 속에 있다는 큰 성을 향해 떠났다. 바라문은 그 궁전의 문앞에 서서 향을 피우며 한쪽 발을 들고 열심히 주문을 외우며 축원을 드렸다. 염마왕을 만나게 해달라는 바라문의 정성어린 축원에 감동한 염마왕이 문지기에게 명령을 내려 바라문의 축원을 들어주기로 했다.바라문은 염마왕을 만나,“대왕님, 저는 간절한 원이 있어서 대왕님을 알현하고자 찾아왔습니다. 실은 제가 만년에 아들을 얻었기에, 노후의 의지로 사랑하여 길렀는데, 일곱 살이 되자 그만 병으로 얼마 전에 죽고 말았습니다. 아무쪼록 대왕님의 자비심으로 그 자식을 저에게 다시 돌려 주시옵소서”그는 눈물을 흘리며 슬피 흐느끼면서 염마왕에게 간청했다.“네 자식은 지금 동원에서 딴 아이들과 놀고 있다. 가서 데리고 가라”그는 나는 듯이 동원에 달려가 아들을 덥석 껴안고 슬픔과 기쁨이 뒤섞인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목이 메어 겨우 말을 했다.“오오, 내 아들, 참으로 있었구나. 나는 네가 죽고 나서 낮이나 밤이나 너를 잊지 못하고 몸부림쳤다. 너도 부모 곁을 떠나 얼마나 외롭고 슬펐겠니. 나와 함께 집으로 가자 얘야”아이는 깜짝 놀라 고함을 지르며 바라문을 욕했다.“뭐라구 이 바보 늙은이 같으니, 무식한 말 작작하라구. 잠시 머무르는 곳을 빌린 것만으로 어떻게 부모와 자식이란 말이야. 지금 나에겐 이 세상의 부모가 있어. 허튼소리 작작하구 어서 빨리 돌아가”바라문은 제 자식의 핀잔과 욕설을 듣자 할 말을 잊고 고개를 숙인 채 쓸쓸히 거기를 떠났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그대로 단념하질 못했다.바라문은 부처님께 인간의 혼이 변화하는 길을 물어보기로 마음먹고 기원정사에서 사람들을 위해 설법중인 부처님을 찾아갔다. 그는 석존을 뵙고 혼이 인사를 드린 후,“제 자식은 저와 함께 집으로 돌아오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도리어 저를 바보 늙은이라고 욕설을 퍼부었습니다. 그리고 또 제 자식이 아니라고 잡아뗍니다. 이것은 도대체 어찌된 영문일까요”부처님께서는 바라문의 말을 들으시고 그를 위해 이 세상의 생사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해 주었다.“바라문아, 너는 과연 어리석은 자로구나. 사람이 죽어 혼이 떠나면 곧 또 다른 형태로 머물게 되는 것이다. 부모가 되고 처자가 되는 인연은, 말하자면 손님이 왔다가 가는 것처럼 그 만남과 헤어짐이 무상한 것과 같이 상주성(常住性)이 있는게 아니다. 그런데도 어리석은 잘못된 생각에 방황하는 자는 그것을 소유하는 것으로 확신하고 그 득실에 대하여 슬퍼하고 근심하고 번뇌한다. 이것은 그 근본을 깨닫지 못하고 외형에만 너무나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자(智者)는 은애(恩愛)를 탐하지 않는 것이다”바라문은 목숨은 무상한 것이며, 처자란 오직 왔다가 떠나는 손님과 같은 것임을 알게 되었다. 바라문은 마음에 안정을 얻게되고 자식을 위해 집착하던 마음이 평화롭게 가라앉으며 맑은 물처럼 체념이 샘솟았다. 그는 그 후 승려가 되어 세상의 무상을 깨닫고 자식이 죽은 비탄과 번뇌를 깨끗이 씻고, 오직 부처님의 길을 닦고 부지런히 행한 까닭에 아라한과를 증득했다.(法句譬喩經 第三)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