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 총무원장스님이 온갖 우여곡절과 어려움을 겪으며 4년의 임기를 마치고 9월 22일 퇴임을 맞이한다. 도산스님이 4년 전 제 25대 총무원장으로 당선된 일은 종단사에 있어서 두 가지로 큰 의미가 있었다.

첫째, 이른바 7인방 세력이 도산스님의 체제가 출발함으로써 완전히 퇴진한 점이다. 이승만 정권의 불교에 대한 무지와 불교 말살의 의도로 촉발된 법난의 와중에서 종명과 재산을 빼앗기고, 어쩔 수 없이 태고종이라는 종명으로 재출발한 이후 7인방이 종단의 근간을 세우고 체제를 확립한 것은 사실이나 일부 인사들의 전횡과 사욕으로 인해 종도들의 비난을 받아왔다.

현재 종단을 위기로 내몰고 있는 종단부채 또한 그들 일부의 담합으로 인해 발생한 사실은 명확히 밝혀졌으며, 지난 25대 총무원장 선출에서 그들이 지지하던 후보가 낙선함에 따라 그 세력이 완전히 퇴진한 것이다.

둘째, 중앙종회의원에게만 주어졌던 총무원장 선거권이 대폭 확대된 선거인단으로 선거법이 바뀐 이후 최초로 선출된 총무원장이라는 점이다. 선거권이 확대됨은 종도들의 종단에 대한 관심을 가져오고 따라서 보다 많은 종도들의 여론이 선거에 반영됨을 의미한다. 당시 도산스님이 거의 절반에 이르는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된 것은 무엇보다 종단개혁을 바라는 종도들의 열망이 있었기 때문이다. 도산스님이 내세운 종단개혁의 공약은 매우 구체적이었고 그 일을 추진할 만한 인물로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그렇듯 종도들의 전폭적인 지지로 출범했던 도산 총무원장 집행부였지만 서원했던 개혁과 안정을 이루지 못하고 말았다. 특히 임기초반 갑작스런 호법원장 유고로 인한 호법원장 선출의 적법성을 두고 종법을 넘어서 개인적인 감정으로 인한 비난과 막말은 종도들의 우려를 자아냈다. 이일로 인해 당시 13대 중앙종회에서 종법을 어긴 불신임안이 통과됐고, 종단 내부의 일이 세속법정의 소송으로 비화되었는가 하면, 폭력으로 총무원사가 점거돼 일반 언론에까지 오르내리는 지경이 되었다.

이후 총무원 집행부는 세속법정에서 승소하고 총무원사를 되찾는 과정에서 폭력이 발생했고, 그 일로 인해 현직 총무원장이 구속되는 초유의 일이 일어났다. 그러한 일련의 사태를 겪으면서도 다수의 종도들은 총무원장의 중도 퇴진이 아닌 주어진 임기를 마치기를 바랐다. 그 이유는 총무원장의 불신임이 명분 없고 적법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굳이 도산 집행부의 종단사적 의미를 말하자면 일반종도들이 나서서 말하지 않지만 일의 선후나 적법성에 대해 명확한 판단을 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이다. 이는 14대 중앙종회의원 선거가 총무원장을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고, 제 26대 총무원장 선거에서도 중도적인 편백운 스님이 당선됨으로써 확인되었다.

또 하나는 최악의 어려움 속에서도 도산 총무원장이 꿋꿋하게 임기를 마쳤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전임의 몇몇 총무원장들이 주변의 압박이나 회유를 견디지 못하고 중도에 사퇴하여 종단 내에 ‘흔들면 그만둔다’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주었지만 이번 일로 전체 종도들의 동의를 구하지 못한 일부세력의 총무원장 흔들기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했다.

이제 우리는 가장 어려웠던 도산 총무원장의 퇴임을 맞아 그간의 노고를 위로하고, 그 집행부에서 벌어졌던 일들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종단을 꾸려가는 일은 반드시 종헌 • 종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까지 벌어졌던 종단 대부분의 문제들이 종헌 • 종법을 어기거나 자의적인 해석을 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을 배우지 않았는가.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