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11월 6일까지 ‘초의선사-바라밀 茶’전 개최

▲ 초의스님이 그린 백묘문수보살도. 범어사 성보박물관 소장.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지는 초의선사(1786~1866) 열반 150주기를 맞아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3층 역사상설실에서 ‘초의선사-바라밀 다(波羅蜜 茶)’특별전시회가 오는 11월 6일까지 열린다.

▲ 초의스님이 직접 사용했던 흑유(黑釉) 차 주전자.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장.
이번 특별전에는 <다산사경첩>(보물1683-1호), <청량산방시축>, <관세음보살여의주수>, <문수보살도>, <선문사변만어>, <죽로지실(竹爐之室)>, <단연죽로시옥(端硯竹爐詩屋)>, <전다삼매(煎茶三昧)>, <초의행(草衣行)>, <여백파서(如白坡書)> 등과 초의선사 유품 흑유(黑釉)차주전자, 인장(印章), 소장서책 등 초의관련 걸작 및 희귀유물 70여점이 공개된다.

전시유물은 호암미술관, 범어사성보박물관, 동국대도서관, 남농미술관, 함평군립미술관,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등 국 공립 박물관, 사찰, 개인 등 30여 곳에서 모은 것이다.
전시의 구성은 ‘다산선생님과 산천유람 - 백운동에서 다산까지’를 비롯해 6개 부문으로 나눴다. ‘다산선생님과 산천유람 - 백운동에서 다산까지’에서는 다산과 초의스님의 관계에 대한 자료들로 구성됐다. 다산과 초의는 24살 차이가 나지만 서로 도반의 관계로 이어졌다. 1801년 신유박해로 강진에 유배 온 다산은 1809년부터 초의에게 시(詩)와 유학(儒學)을 가르쳐주었다.

▲ 초의스님 作 '관세음보살여의주수'. 개인 소장.
‘우리 차를 노래하다 - 해거도인에게 올리는 <동다송>’에서는 <동다송>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는 구성이다. 중국에 육우의 <다경(茶經)>이 있다면 우리나라는 초의의 <동다송>이 있다. <동다송>은 1837년 정조대왕의 부마 홍현주의 명을 받아 지은 68구 434자의 장시다.

세 번째 ‘선문(禪門)논쟁의 불을 당기다 - 백파 <선문수경> : 초의<선문사변만어>’는 백파와 초의 선사 사이에 이어진 선문 논쟁을 주제로 했다. 선(禪)수행의 요체는 한마디로 마음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것이다. 그것이 선열(禪悅)이고 해탈(解脫)이고 바라밀(波羅蜜)이다. 백파는 선(禪)수행을 ‘이 뭐꼬?’와 같은 화두일념(話頭一念)으로 해결된다고 보았다. 반면 초의는 여기에 교학(敎學)을 겸해야만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두 고승 사이에 벌어진 선문 논쟁은 한국불교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네 번째 ‘如意뜻대로 - 선묵(禪墨)과 불화(佛畵)’는 차로만 알려진 초의스님의 다른 면을 조명하는 구성이다. 초의스님의 불화(佛畵)와 선묵(禪墨)은 선장에 못지 않는 격(格)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의외로 많은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일괄로 알려진 초의스님의 서화(書畵)는 <관세음보살여의주수><백묘문수보살도><십일면관음보살도><천불전신중탱><백운동도 다산도><추수청공첩> 등이 있다.

▲ 추사 김정희 作 '죽로지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다섯 번째 ‘유불(儒佛)을 넘나드는 도반(道伴)-추사’는 초의스님과 추사 김정희와의 교유 및 그들의 교유가 당시 조선 문화계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는 구성이다. 추사에게 있어 초의는 어떤 존재일까. 한마디로 통유(通儒)로서 추사의 학예는 초의선사라는 도반이 없었다면 불가능하였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 ‘교유 장서’는 초의와 교유한 당대의 여러 지성들과의 인연관계를 살펴보는 자료로 구성됐다. 초의는 다(茶)성(聖)이자 선장(禪) 장(匠)이다. 이번 전시는 선다일여(禪茶一如), 선묵일여(禪墨一如)의 장본인으로서 초의스님을 다양한 교유관계인물속에서 조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행사기간 중에는 초의 ‘행다(行茶)’가 주말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죽로지실(竹爐之室, 서예관3층 상설전시실로비)에서 국내 굴지의 다원들이 차례로 나서 열린다.  02-580-1300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