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선암사와 그 학풍 3.

침명 스님, 대선장이면서도 염불 게을리하지 않아
함명 스님, 선암사 요청으로 남암과 북암에서 개당

Ⅲ. 근대 선암사의 학풍(學風)과 그 특징(2)

1. 화엄중심의 융합정신(2)

심성론(心性論)에 있어서 연담과 묵암은 각각 다른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연담의 『임하록』에 수록되어 있는 「심성론서(心性論序)」에 의하면 묵암은 “부처와 중생의 마음은 각각 따로 원만하며 아직 하나가 된 적이 없다”라는 견해를 밝혔으며, 이에 반해 연담은 “부처와 중생의 마음은 각각 원만하게 있지만 본래는 하나”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여기서 묵암이 말한 “미증일개자(未曾一個者)”를 ‘원래 동일하지 않다’라고 해석했다는 점에서 일원론과 이원론으로 이해할 여지를 만들었다. 그러나 김용태의 이해처럼 개체의 원만성(圓滿性)을 중시한 점에서 묵암을 이해한다면 보다 불교적인 이해에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기신론』의 사상적 영향에서 중생과 부처를 일심이문의 발현으로 이해하는 전통적인 화엄사상의 입장에서 사물을 인식하고자 했던 것이 연담의 입장이었다면, 반면에 현상의 입장에서 일체의 사물을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 묵암의 입장이었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개체의 원만성은 불성의 현현이란 점에서 그 자체로 이미 최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원만한 존재가 아닐 수 없다.

중생이 중생인 이유는 이미 불성과 유리되어 중생의 존재 이유를 지니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중생을 무명의 불완전한 존재로 인식했던 것이 일반적인 이해였다. 동일한 차원의 연장선상에서 묵암은 중생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중생 그 자체에 최대의 가치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라 보는 것이다. 화엄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사무애의 입장과 상통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현실을 적극적으로 긍정한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현실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무수한 모순과 부조리조차 적극적으로 긍정하지 않을 수 없는 논리적 한계가 성기론에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인식한 결과일 수도 있다.

여하튼 해붕 전령은 이상과 같은 묵암 최눌의 사상적 계승자 중의 한 사람이라는 점에서, 선암사의 화엄학풍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키워드가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해붕 전령을 지나 선암사의 화엄 강맥이 수립되는데 초석을 다지게 되는 침명 한성 역시 묵암 최눌의 법계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에 의하면 “근래에 화엄강주로 이름난 사람을 보면 사불산 용호가 있고, 구월산에 하은이 있으며, 조계산에 침명과 함명 등 여러 스님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능화가 언급하고 있는 화엄강주 중의 중심인물은 침명 한성이다. 이미 언급했듯이 침명 한성(1801~1876)은 선암사 4대 강맥이 탄생하는데 산파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전강제자 중의 한 명인 함명 태선이 선암사 4대 강맥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교학뿐만 아니라 선학에도 출중해서 설두 유형(1824~1889)과 우담 홍기(1822~1881), 경담 서관, 용호 해주, 응화(1813~1885) 등의 선장을 전선제자로 두고 있다.

용호 스님은 문경 청화산 백련암의 대강사였다. 침명은 15세에 팔영산 능가사에서 근민 장로(勤敏長老)에게 축발했으며, 17세에 화엄종의 대운 성홍 화상을 찾아가 징관, 종밀의 소(疏)와 설담, 연파의 주기(註記)를 배웠고, 선법은 구암사 백파 긍선에게 받았다. 28세에 송광사 보조암에서 개강하였으나 이듬해인 29세에 선암사의 요청으로 대승암으로 옮겨 30여 년간 주석하며 개강했다. 제자에게 강석을 물려주고 조용히 선지를 참구하다가 고종 13년(1876)년 10월 2일 입적했다. 세수 76세, 법랍 61년이었다. 미질(微疾)로 자리에 누워 제자들을 불러 모았을 때 어떤 제자가 송경(誦經)하려고 하자 침명은 손을 내저으며 “진정한 송경은 소리가 없고, 진정으로 듣는 것은 들리는 소리가 없는 것”이라는 무설설의 설법을 하며 제자들을 경책했다.

선암사 비로암 전경. 경운 대선사께서 6년간 화엄경을 사경하신 곳으로, 험한 전란과 세월의 풍파로 인해 본래 모습이 소실된 채, 언제쯤 복원될 지 요원하다.
선암사 비로암 전경. 경운 대선사께서 6년간 화엄경을 사경하신 곳으로, 험한 전란과 세월의 풍파로 인해 본래 모습이 소실된 채, 언제쯤 복원될 지 요원하다.

 

침명 스님은 계율을 철저하게 지켰으며, 매일 밤 자시마다 잠자리에서 일어나 목탁을 치며 미타를 10여 차례 염불했다. 화엄학장이요 대선장이면서도 염불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것은 조선 후기의 사원에 자리 잡은 전형적인 선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신규탁은 “화엄교학 간화참선 정토염불은 솥의 세 발처럼 조선 후기에 확고하게 자리 잡으며, 이런 수행 가풍은 조선시대를 관통하는 전통일 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는데, 이러한 평가에 가장 전형적인 인물이 침명 스님이라 할 수 있다.

침명 한성의 강맥을 계승한 것은 함명 태선(1824-1902)27)이다. 그의 속성은 박씨이며, 본관은 밀양이다. 순조 때인 갑신년(1824) 9월에 화순의 적천리에서 태어났다. 14세에 화순 만연사의 풍곡 덕인 선사에게 의탁했으며, 15세에 축발하고 백양사 도암 화상에게 수계하였다. 선암사에서 침명 한성 스님에게 5~6년간 삼장(三藏)을 두루 섭렵했으며, 이 무렵 함명의 탁월함에 감탄한 침명 스님이 그에게 대승계를 주었다. 그는 계율을 청정하게 지켰으며, 학인들을 지도한지 30여 년에 고명이 사방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선암사에 남아 있는 「화엄종주함명당대선사비명」에는 화엄종으로 강석을 주지(主持)했다고 밝히고 있으며, 선암사의 요청을 받아들여 남암과 북암에서 개당(開堂)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암(南庵)에 있을 때 성이 강씨인 자기문위(慈屺文瑋)라는 스님이 찾아와 나눈 선문답이 남아 있다.

“묻건대, 대지가 다하면 비로자나부처님은 어느 곳에서 오줌을 눕니까?”

선사께서 불자(拂子)를 세우고 자기의 모자를 건드리며 말했다.

“훌륭한 뒷간이구먼.”

이에 자기가 껄껄거리며 웃었다고 한다.

남아 있는 문답을 통해 함명 스님이 지녔던 선풍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나의 선사는 선교를 병융(竝隆)하고 복혜(福慧)를 양족(兩足)했다”는 평을 통해 함명 스님의 학풍과 인품이 어떠한가를 알려주고 있다. 여기서 선교를 함께 융성시켰다는 것은 화엄과 선을 동시에 중시했다는 의미로 파악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선암사의 주류는 되지 못했지만 함명 태선과 함께 침명 한성에게 동문수학한 경담 서관(1824-1904)이 있다. 순조24년(1824) 태어나 15세에 장성 백양사에서 삭발하고 출가했다. 경담은 순창의 구암사로 백파 긍선을 찾아가 학문을 시작하며, 그의 문하에서 내외전을 두루 섭렵하고 백파 긍선의 3대 법손이 되었다. 또한 선암사에서 학풍을 날리고 있던 침명 한성을 찾아가 수계하고 선법을 전수받았다. 화엄학과 선학에 조예가 뛰어났으며, 계율을 엄수하고 만년에는 염불에 전념했다. 고종 광무 8년(1904) 세수 81세, 법랍 66세로 열반에 들었다. 경담 역시 화엄학과 선, 염불을 병행한 수행자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함명 태선의 전강 제자인 경붕 익운(1836-1915)의 속성은 김씨이고 본관은 김해이다. 1836년 2월 24일 순천군 주암면 접지에서 태어났다. 모형(母兄)인 화산 스님이 출가를 했는데, 그를 따라가 책을 읽다가 방외(方外)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15세에 화산 스님이 권유하여 출가했으며, 이듬해 선암사 침명 한성의 문하에 들어갔으며, 호운 선사에게 삭발하고 구족계를 받았다. 내외의 서적을 두루 탐독하고 19세부터 사방으로 선지식을 찾아다녔다. 『능엄경』, 『기신론』, 『반야경』, 『원각경』은 응월 화상(應月和尙)에게 배웠으며, 화엄과 염송은 설두 유형에게 배웠다. 25세에 조계산에 돌아와 그해 가을에 무등산 원효암에서 건당(建幢)했는데 학인이 도마(稻麻)처럼 늘어섰다. 함명이 마침내 불자(拂子)를 보내면서 말하길 “나는 이제 비로소 다리를 펴고 잠잘 수 있겠다”고 하였다. 35세에 함명의 뒤를 이어 대승암에서 개당하고 설법하길 10여 년. 무인년에 이르러 송광사로 옮겨 강설하다가 기묘년(己卯年)에 돌아와 경운 원기를 상족(上足)으로 삼았다. 이후 좌선과 숙향(熟香)을 하며 미타를 염송했다. 스승인 함명이 병들자 옷을 풀지 않고 5년을 모셨는데 한결같았다. 따라서 사람들은 스님을 공문(空門)의 대효사(大孝師)라 불렀다. 을묘년(乙卯年 1915) 여름인 6월 28일 미질(微疾)을 보이고 우협(右脇)으로 서쪽을 향해 누워 조용히 시적(示寂)했다. 세수 80세, 법랍 66세였다.

경붕 스님에 대한 전기는 『동사열전』에는 보이지 않는다. 스승인 함명 태선의 전기에 이름이 보이며, 선암사에 건립된 「경붕당대종사비명」을 통해 상세한 것을 알 수 있다. 선교양종을 겸수했다고 하지만 구체적인 학풍을 알 수는 없다. 다만 비명의 말미에 예운산인 최동식이 묘사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스님의 학풍을 짐작하게 할 따름이다.

“진속(眞俗)을 쌍융(雙融)했으니 대체로 그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저 진제를 벗어나 속제를 말하는 것은 본래 불가능한 일이지만 그러나 속제를 벗어나 진제를 말한다면 어느 것이 유위(有爲)이고 어느 것이 무위(無爲)일 것인가? 내가 나의 스승을 새기는 것이 아니라 스승의 무리들이 이미 그 스승을 새기는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선사(先師)들의 학풍을 계승해 중도적 세계관을 수립했으며, 어느 것에도 걸림이 없으되 필요한 경우 다양한 방편을 시설해 중생을 계도(啓導)했다는 표현이 아닐까 짐작하게 한다. 전법제자에 경운 원기가 있으며, 기타 많은 학인들이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경붕 익운의 사법제자인 경운 원기(1852-1936)는 철종 3년(1852) 정월 3일에 태어났으며, 17세인 고종 5년에 지리산 연곡사의 환월 화상에게 출가하였다. 순천 선암사의 대승강원에 들어가 경붕 익운의 가르침을 받다가 30세 되던 해에 강석을 물려받았다. 1911년 정월 15일 영호남 승려들이 순천 송광사에서 총회를 열어 조선불교임제종을 결의하고, 임시 종무원을 송광사에 설치했을 때 임제종 관장에 선출되었다. 1929년에는 조선불교선교양종교무원이 설치되자 교정으로 추대되었으며, 스승인 경붕 익운의 사상을 충실하게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경운 원기의 사법제자인 금봉 기림(1869-1916)이 출현하여 화엄교학과 선을 병중(竝重)하는 선암사의 강맥을 계승하게 된다.

이상에서 선암사의 학풍을 중요한 인물 중심으로 고찰했거니와 그 핵심은 화엄교학과 선을 동시에 수학하는 전통이다. 그 위에 더하여 염불을 배제하지 않고, 수행의 방편으로 채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학(敎學)과 수선(修禪)에 뛰어나 종장(宗匠)들이라도 말년에는 염불과 주력을 통해 수행을 하는 등, 고집하지 않고 실질을 숭상하는 가풍이었다. 중도적 관점에서 수행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근원적으로 성찰하고, 그렇기에 조화와 원융 속에서 다양한 수행자들이 동거할 수 있는 선암사라는 수행도량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동방문화대학교대학원 불교문예학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