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실담범자 모음②

7. 에〔예(曳), e〕 장음 구(求, niścikīrșā)

 

(실) 장음 에자는 구(求, niścikīrșā) 끝없이 추구한다는 뜻이며 락(樂)을 추구하는 득구(得求)와 오래 살려는 명구(命求) 등은 세간적인 구지만, 여기서는 깨달음을 구하는 성구(聖求)를 말하는 것이다.

(대) 대일경에서는 예(翳, 가리워 지다, 번뇌를 물리치다)로 발음한다.

8. 아이〔애(愛, ai〕 단음 자재(自在, aiśvarya)

 

(실) 단음 아이자는 자재(自在, 아이슈바르야, aiśvarya) 또는 자상(自相)이라 한다.

자재란 마음대로 무엇이나 자유롭지 않음이 없고, 수행할 때 장애될 것이 없음을 말한다. 불보살이 가진 자재력을 말하므로 그래서 불보살을 자재인이라고 한다. 자재력에는 2종 자재와 4종 자재와 10종 자재가 있다.

<2종 자재>

관경자재: 진여와 다른 경계 즉 현상계 관하는 것.

작용자재: 설법교화의 활동을 말한다.

<4종 자재>

무분별자재: 분별을 여윈 것.

정토자재: 각종 찰토에 나서 국토를 청정하게 하는 자재.

지자재: 제9지에 이르면 무애지를 성취하므로 설법교화를 자재 하게 된다.

업자재: 제10지에 오른 보살은 번뇌와 업박이 없는 자재와 지혜와 4자재를 자유롭게 성취하게 된다.

<10종 자재>

명자재: 수명을 신축하는 자재.

심자재: 삼매에 자유로이 들고 나는 것.

재자재: 재물에 관한자재.

업자재: 행위 및 행업을 자유롭게 하는 것.

생자재: 수생자재라고도 한다. 생을 받는 것을 자유로이 하는 것.

원자재: 원하는 대로 깨달음을 얻는 것.

신해자재: 온 우주에 불이 변만함을 보는 것,

여의자재: 신통변화의 힘으로 부사의함을 보는 것.

지자재: 지혜를 얻어 깨달음을 여는 것.

법자재: 무량의 가르침을 설하여 보여 주는 것.

(대) 여래의 모든 행은 중생을 이익하게 하지 않음이 없다.

9. 오(汚, o) 장음 폭류(瀑流)

 

(실) 장음 오자 폭류(瀑流)는 삼계(三界)의 모든 번뇌(煩惱)를 말한다. 모든 번뇌는 폭포에 흘러 보내어 선행을 하게 하는 것이다.

(대) 누(漏)는 번뇌의 다른 이름을 말한다. 여래는 모든 번뇌를 영원히 끊었으므로 오라고 하는 것이다.

10. 아우(오(奧, au) 단음 화생(化生)

 

(실) 단음 아우는 화생(化生)이고 4생의 하나를 말한다. 자체가 없으면서 의지하지도 않으면서 스스로 홀연히 생겨남을 말하고, 부처와 보살의 신통력으로 불보살의 모습으로 나타난 변화(變化)불 또는 응화(應化)불을 말한다.

정토종에서는 진불(眞佛)에 대한 화불(化佛)을 말한다.

(대) 열반경에서는 아우(奧, au)를 한음으로 포(炮)라 한다. 대승(大乘)이란 뜻.

11. 암(菴, aṃ) 변제(邊際, 안따-끄리야, anta-kriyā)

 

(실) 변제는 문맥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여기서는 8정도를 말한다.

1. 정견(正見): 바른 견해.

2, 정사유(正思惟): 바른 의사결정.

3. 정어(正語): 바른 언어.

4. 정업(正業): 바른 행위.

5. 정명(正命): 바른 생활.

6. 정정진(定精進): 바르게 노력. 바른 방편.

7. 정념(正念): 의식을 올바로 갖는 것. 바른 생각.

8. 정정(正定): 무념무상과 같은 마음의 상태.

(대) 암(菴)은 모든 부정한 것을 막음. 부처님 법에서는 온갖 금과 은과 보물을 버리는 것을 말한다.

12. 아흐(惡, aḥ) 원리(遠離, 아빠가따, 비비끄따, apagata, vivikta)

 

(실)멀리 여의는 것은 일체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 즉 무위법을 말한다. 번뇌와 악업을 멀리 여의고 6바라밀 등의 수승한 십선법(十善法)을 닦는 것을 말한다. 살생을 여의면 수명과 신체가 만족하게 되고, 도둑질을 여의면 기근, 바람, 병충해의 재앙을 여의게 되고, 음욕이 없으면 아름다운 명성이 멀리 퍼지고 모든 번뇌를 멀리 여윈다.

(대) 악(惡)은 아(痾)라 하며, 훌륭한 법이란 뜻이다. 왜냐하면 이 대승경전인 대반열반경은 경전가운데 가장 훌륭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12문자를 통마다(通摩多)이라 하며, 이 마다(摩多, mada) 모음(母音)이라 한다.

4조음(助音)을 별마다라 하고, 다음과 같다.

-동방불교대학교 교수, 실담범자연구원장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