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 법문처럼,

하늘에서 당목이 내린다

저 당목 돌돌 말아

그녀의 옷 만들고 싶다

그녀 몸에 꼭 맞는

설빔 만들어주고 싶다

저 설빔 입으면

그녀 마음 다시 되돌아올까

그녀 마음 다시 되돌아오면

내 몸 다시 되살아날까

설날 아침

무량수 법문처럼

쌓이는 당목 바라보며

산 넘어간 그녀

온종일 생각한다

-초등학생 때다. ‘오지다’는 말은 그럴 때 쓰는 겔 게다.

밤새 눈이 내렸는데, 마당에 쌓인 눈이 장독대를 완전히 덮고, 돼지막과 외양간으로 가는 길도 완전히 지우고, 사립문으로 가는 길도 완전히 집어삼켰다.

늙은 감나무 가지도 두 개나 부러졌다. 그러고도 오전 나절까지 눈이 쏟아졌다. 그런 눈은 (내 짧은 나이였지만) 난생 처음이었다.

물론 내가 태어난 곳이 삼백(三白)의 고장(쌀, 소금, 눈 혹자는 쌀, 소 금, 누에고치라고도 함)으로 유명한 곳이기도 했지만, 나는 그때 처음으로 눈〔雪〕의 포근함과 절망감, 안락함과 두려움, 평화로움과 아득함을 함께 느꼈다.

그로부터 몇십 년 후, 나는 유년의 그 눈 속처럼 내가 가 닿을 수 없는 아득하면서도 가까운 공간 속의 한 여인을 만났다. 그 공간 속에서 나는 늘 그 여인을 그리워했고, 그 여인 또한 그런 나를 극진히 위해줬다.

그러나 우리는 항상 서로가 가 닿을 수 없는 거리만큼의 거리를 두고 서로의 자리에 있었다. 그래서 나는 어느 눈 내리는 설날 아침, 그녀에게 내 유년의 설빔을 입혀보았다.

그렇게라도 나는 내 공간 속에서 그녀와 함께 있고 싶었다. 그리고 내 공간 속에 내 관음(觀音)으로 모셔두고 싶었다. 이벽(시인·언론인)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