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통해 선지 전수
송이나 시가 전달 방법
문학적 감수성 당대 으뜸

-야부도천의 선시

야부의 속성은 추(秋)씨이고 이름은 삼(三)이다. 생몰연대가 불분명하나 송나라 때 활동한 것으로 나타난다. 도겸 선사에게 도천이라는 법명을 받았고 정인계성(淨因繼成)의 인가를 얻어 임제(臨濟)의 6세손이 되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야부는 특히 『금강경』을 통해 자신의 선지나 가르침을 후학에게 전했다. 그 전하는 방법은 주로 송이나 시로 이루어졌는데 매우 간결하고 함축적이며 전하는 활구(活句)가 백미로 통한다.

대그림자 뜰을 비질하고 있다

먼지 하나 일지 않는다

달빛이 물밑을 뚫고 들어간다

수면엔 흔적 하나 남지 않는다.

借婆衫子拜婆門 禮數周旋已十分

竹影掃階塵不動 月穿潭底水無痕

7언절구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이 시는 첫 1, 2구가 선의 심오한 경지를 읊고 있어 상당한 양의 설명을 요한다. 따라서 3, 4구만 한역한 것인데 이것만으로도 시적 영감이 감전되는 듯한 맛을 짜릿하게 느낀다. 극도로 절제되고 차분한 감정에 섬세한 필법이 읽을수록 독자를 압도하고 매료시킨다. 시적 상황을 영상으로 떠올리면 이처럼 아름답고 고요한 풍광은 없을 것이다. 그런 가운데 ‘선적 이미지’는 또한 얼마나 예리한가.

서정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를 상호 연관 시키는 능력이라고 한다.

무사무욕(無私無慾)의 태도로 세계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시인의 심성을 우리는 원시인이나 어린애의 그것으로 비유하기도 하는데 야부의 이 시는 이미 그마저 뛰어넘은 천부적 선적 관찰을 내보이고 있다.

선사들의 삶과 죽음 문제를 깨치고 난 초월의 경지에서 노래한 시에서 우리는 고도의 정제된 정신적 수준과 뛰어난 문학적 감수성을 동시에 맛볼 수 있다. 자연관조의 결과가 선적으로 착색되면 얼마나 아름다운 시가 빚어지는 가를 야부가 이 시를 통해 여실히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불교언론인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