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불교계의 각 종파의 법계와 칭호

본종에서는 12월 4일 오전 10시 제18차 법계고시를 실시한다.(종단사정에 의하여 이번 법계고시는 서류전형으로 전환하며, 발표는 12월10일, 품수식은 12월 18일 오전 11시로 결정됐다.) 현재 법계고시 응시자 수가 현 집행부에서 기대했던 것 보다 더 상회하여 호조를 보이고 있다. 1종단 2총무원이라는 종무행정이 난맥상을 이루고 있는데도 그래도 율곡로(사간동) 전승관 총무원(불이성 법륜사)이 정통이라는 믿음이 가는지 응시자들의 수가 상상외로 많이 접수되고 있다. 호명 측은 총무원에서 10여년 이상 서류 장난을 해온 철오와 정각을 시켜서 ‘구족계’를 한다, ‘법계고시’를 한다면서 종무행정을 어지럽히고 있지만, 눈 밝은 종도들은 결국 현 집행부가 소송에서도 승리할 것으로 믿고 현 총무원 집행부에 응시원서를 제출하고 있다.

총무원에서는 12월 2일까지 응시원서 접수를 받는다. 해당되는 종도들은 원서 제출을 하기 바란다. 본종 제18차 법계고시를 계기로 본종단의 법계제도를 알아보고, 세계불교의 법계는 어떤지 동방불교대학 총장 원응 스님의 자문을 받아 3회에 걸쳐 정리해 본다.-<편집자 주>

이번 제18차 법계고시는 12월 4일 서류전형으로 대체하기로 결정했다. 발표는 12월10일이며 품서식은 12월 18일 오전 11시로 결정했다. 응시자들은 착오 없기 바라며, 아직 응시원서를 제출하지 않는 해당 종도들은 빠른 원서 접수를 요망한다.

세계적으로 이름난 스님들의 법계와 칭호를 한번 알아보자. 가장 이름이 널리 알려진 분은 티베트 불교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이다. 우선 티베트 불교의 지위는 다양하다. 티베트 불교에서 대표적인 지위는 ‘달라이 라마’란 타이틀이다. 티베트 불교는 대표적으로 다섯 개의 파가 존재한다. 닝마(Nyingma), 카규(Kagyu), 사캬(Sakya), 겔륵(Gelug), 조낭( Jonang) 파가 그것이다.

닝마파는 8세기에 시작된 종파이다. 닝마파는 일명 적색모(赤色帽)파라고도 한다. 라마들이 붉은 색의 모자를 착용하기 때문이다. ‘원만(圓滿)과 경전’을 중시한다. ‘원만’이란 우리불교식으로 해석한다면 광명심(光明心)에 이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선불교식으로 말한다면 대원경지(大圓鏡智)를 말한다. 다른 말로 하면 견성성불의 경지이다. 경전이란 교학(敎學)을 말하며 대승불교경전을 중시 여긴다. 닝마파는 티베트불교에서 가장 오래된 종파이다. 그러므로 티베트 고유의 종교인 본교의 전통이 조금 섞여 있다.

까규파는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까규파도 적색모를 착용한다. 까규란 말은 ‘입으로 전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전통 밀교 수행을 위주로 하며 (동인도)아티샤의 가르침도 공부한다. 밀라레빠의 제자 쇠남린첸이 1121년에 감뽀 사원을 세운 것에서 유래하였다. 12개 분파가 생겼다. 밀라레빠는 티베트 불교에서 성취자라고 부르고 있다. 그는 요가 수행자이면서 시인이기도 했다.

사캬파는 11세기 사캬 사원에서 시작됐다. 적색모를 착용한다. 티베트 불교의 본존가운데 하나인 희금강(喜金剛)을 추종하는데, 일종의 명상전통을 따르는데, 나로빠가 이 종파의 조사격이다. 그를 밀교상사(密教上師) 또는 대성취자(大成就者)라고 부른다.

겔륵파는 15세기에 라싸의 간덴사원에서 창종된 파이다. 황모파라고 부른다. 라마들이 노란색 모자를 착용한다. 겔륵파는 개혁파이면서도 덕을 중시 여긴다. 각 파마다 조금씩 특징이 있다. 쫑가파라든지(종파가아님. 라마의 이름) 달라이 라마는 여기에 속한다.

조낭파는 12세기에 창종되었다. 이 파도 적색모를 착용한다.

티베트 불교의 다섯 개 파중에서 닝마파는 구역(舊譯)이라고 부른다. 인도불교의 경전을 티베트 역으로 번역했는데, 닝마파 소의경전이 거의 구역이어서 이렇게 부른다, 나머지 종파는 전부 신역(新譯)이라고 부른다. 네 개파는 라마들이 착용하는 모자가 전부 적색인 반면, 겔륵파만 황색모를 착용한다. 티베트 불교 라마를 볼 때, 어떤 색의 모자를 착용하고 있는지 살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달라이 라마도 황모를 착용한다. 하지만 이 모자 색에 큰 의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또 티베트 불교의 각 파도 대동소이하지만, 소의 경전이나 수행방법, 불교철학의 궁극적 목적을 지향하는 바가 조금 다를 뿐이다.

이렇게 티베트, 각 종파를 염두에 두고 라마에게 부여되는 지위와 호칭을 한번 알아보는 것도 흥미 있는 일이다. 예를 들어서 우리종단도 전체 스님들을 비구 비구니라고 부르는 것보다는 종도(宗徒)라고 일컫는데, 사실 비구라고 부르기도 그렇고 그렇다고 보살승이라고 호칭하기도 좀 이상하다. 그런데 여자 스님들은 비구니란 호칭이 자연스럽다. 전체를 통틀어서 승려 스님이라고 부르긴 하지만 문어적으로는 승니(僧尼=남자스님과 여자스님)라고 표기한다.

스님은 일반적인 호칭이지만, 대종사나 종사 종덕 등은 법계이다. 다 같은 스님이지만, 법계는 다르다. 또한 종정이나 총무원장은 직위를 말한다. 종정은 종단의 정신적 상징이며 법통과 종통을 계승한 자이다. 태고보우국사로부터 법통을 이어받았다고 해서 다 종정의 지위에 오르는 것은 아니다. 총무원장은 종단을 대표하는 행정수반이다. 종사나 대종사의 법계를 지닌 분은 총무원장에 취임할 수 있는 자격을 구비한 분이다. 대종사나 종사의 법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종단의 다른 직위를 갖고 있는 분들이 많다.

총림의 방장이나 조실도 하나의 지위명칭이다. 방장이나 조실은 대조사나 종사의 법계가 있다고 할지라도 아무나 방장이나 조실의 지위에 오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방장이나 조실의 자격에 대해서 종법에 정해져 있다. 우선은 수행이력이 있어야 한다.

티베트 불교에서 최고의 정신적 지위는 달라이 라마란 지위이면서 직위이다. 지금은 국가의 주권을 잃고 인도에 망명정부를 세웠지만, 달라이 라마란 법통은 그대로 계승되고 있는 것이다.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 불교의 겔륵파의 법통과 지위이지만,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 국가와 불교의 최고 수장이기 때문에 티베트 불교 전체를 대표한 상징적 존재가 된 것이다. 하지만, 닝마파나 까규파 사캬파 등도 법통 계승자가 따로 있다. 겔륵파 자체도 법통 계승자가 따로 있다. 달라이 라마는 겔륵파 법통의 한 고승에게 몽골에서 달라이 라마란 칭호를 부여해서, 불교와 티베트 국민을 통치하는 권력까지 부여해서 생긴 일종의 제도인 것이다.

현재의 달라이 라마는 제14세가 된다. 제1세부터 14세에 이르고 있다.

여기서 길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달라이 라마 제도는 1642년에 시작됐고,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는 몽골의 알탄 칸이 3대 달라이 라마 소남 갸초에게 봉헌한 이름인데, 그는 겸손의 의미로 자신의 스승과 그의 스승에게 1대, 2대 달라이라마의 칭호를 올리고 자신은 3대 달라이 라마가 되었다. 그 이래로 그 법통을 잇는 모든 화신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몽골어 ‘달라이’는 갸초(Gyatso, 지혜를 가진 영혼)와 함께 ‘바다’를 뜻하며, 티베트어 ‘라마’는 산스크리트어의 ‘구루(grub, Drup)’에 해당하는 말로 ‘영적인 스승’이라는 뜻이다. 달라이 라마란 뜻은 즉 ‘바다와 같은 지혜를 가진 스승’ 이라는 뜻이다.

사람들은 달라이 라마가 자비의 보살인 관세음보살의 화신이라고 믿으며, 달라이 라마가 죽은 뒤에 차기의 달라이 라마가 다시 환생하였다고 믿는다. 하지만 지금의 달라이 라마는 스스로 자신이 깨달은 자라는 것을 천명하지 않고 있다. 특히 텐진 갸초는 1959년 중국의 티베트 통치에 반대하여 인도로 망명하였다.

그 후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불교의 가르침을 알리는 한편 국제 사회에 티베트의 독립을 지지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티베트 불교는 대승불교와 밀교에 속한다.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는 환생을 관리하는 중요한 동반자였지만 현대 들어 판첸 라마가 중국 정부에 근접하면서 두 라마의 거리는 멀어졌다. 결국 지금은 달라이 라마가 지정한 판첸 라마와 중국 정부가 지정한 판첸 라마가 티베트 불교의 지도자로 다른 위치에서 공존하고 있다.

티베트 불교 겔륵파에서는 달라이 라마 다음으로 높은 지위는 ‘간덴 트리파’란 칭호이다. 간덴사원에서 유래한 이 사원은 세라 사원, 드레펑 사원과 함께 티베트 3대 겔륵파(황모파) 사원의 하나이다. ‘간덴’은 도솔천(兜率天, Tusita, 미륵보살이 수행하는 정토)을 의미한다. 간덴 트리파 법통은 현재 102대에 이르고 있으며, 초대는 쫑가파이다.

세 번째로는 판첸 라마이다.

판첸라마 또는 빤첸 라마는 티베트 불교에서 달라이 라마의 뒤를 잇는 제2의 지도자 및 그 칭호이다. 아미타불의 화신으로 여겨지며 환생에 의해 후계자가 정해진다. 현재 11대 판첸 라마로 간덴포탄이 인정한 정통 후계자인 게둔 초에키 니마(更登確吉尼瑪)와 중국 정부가 지명한 기알첸 노르부(堅贊諾布)의 두 사람이 병존하는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판첸라마는 달라이 라마의 스승들의 법통이다.

티베트 불교의 3대 정신적 지도자 지위는 달라이 라마(관세음보살 화신) 판첸라마(아미타불의 화신) 간덴 트리파(미륵보살의 화신)이다. 티베트 불교를 접하다보면 린포체(린뽀체)란 칭호를 듣는 라마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 진보(珍寶)란 뜻을 갖고 있는 ‘화상(和尙)’ ‘상사(上師)’의 의미 정도다. 일종의 수행과 학덕이 높은 고승쯤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라마는 티베트 불교에서의 스승정도의 의미이다. 게쉬란 칭호는 선지식이란 뜻인데, 학식을 갖춘 라마를 말한다. 달라이 라마는 게쉬(선지식 학위)학위를 가진 분이다. 박사학위를 가진 종정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활불(툴구, 줄구)이 있다. 활불(活佛)은 티베트 불교에서 누군가(부처, 보살, 또는 고승)의 환생이라 지명되어 그 ‘전생’의 제자들의 가르침을 받아 ‘후생’으로서 훈련받는 존재들이다. 티베트 현지어로 쥐구(祖古), 몽골어로 쿠빌간이라 한다. 또한 몽골어로 이들을 일컫는 존칭이 쿠(후)툭투다. 환생임이 지명되었으나 아직 교육을 다 마치지 못한 아이일 때는 전세영동이라고 한다. 교육 끝에 성인이 되어 좌상의식을 마치면 비로소 그때부터 쥐구가 된다. 달라이 라마, 판첸 라마, 삼딩 도르제 팍모스, 젭춘담바 쿠툭투 등이 다 활불이다.

남방불교의 지위와 호칭은 차회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교무부>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