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가산에서 석가모니가 대혜보살을 상대로 설한 불교경전.

돈황 본⟪능가경⟫
돈황 본⟪능가경⟫

《능가경(楞伽經)》은 산스크리트어로 랑카바타라 수트라(लंकावतारसूत्र )라고 하는데 후기 대승불교의 경전이다. 400년쯤에 성립되었다고 한다. 한역으로는 송역(宋譯) 4권본· 위역(魏譯) 10권본 ·당역(唐譯) 7권본의 3종과, 티베트역으로는 법성(法成)의 손으로 이루어진 2종이 현존하는데 그 중에서도 송역 4권본이 가장 원초적인 형태를 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능가경》은 대승불교 중에서도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서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모든 인간은 여래와 같은 본성을 구비하고 있다는 입장)에 입각하여 그 이전의 여러 학파의 설을 풍부하게 채택하고, 이들 학설이 종교경험과 어떻게 맺어져 있는가를 설명하고 있는 점에서 귀중한 불교 경전으로 여겨지며 특히 초기의 선종에서 중시되었다.

석가모니가 능가성(楞伽城)에서 설하였다고 전하는 경전으로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형성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불경이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역본(漢譯本)으로는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443년에 번역한 ⟪능가아발타라보경(楞伽阿跋陀羅寶經)⟫ 4권과 보리유지(菩提留支)가 513년에 번역한 ⟪입능가경(入楞伽經)⟫ 10권, 실차난타(實叉難陀)가 700∼704년에 걸쳐 번역한 ⟪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 7권 등 세 가지가 있다. 신라 때에는 ⟪입능가경⟫이 가장 많이 유통되었고, 최근에는 7권본의 ⟪대승입능가경⟫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이 경은 불교 여러 학파의 교설을 풍부하게 채택하여 혼합시켰으므로, 여러 교설들이 어떻게 종교적인 경험 속에서 결부되고 있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시되는 경전이다.

우리나라의 불교와 관련지어 이 경전에서 특히 중요하게 지적되는 것은 중생 속에 감추어져 있는 여래가 될 수 있는 씨앗인 여래장과 아라야식(A-laya識)의 사상을 결합시켜서 만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선구적인 경전이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선(禪)을 우부소행선(愚夫所行禪)·관찰의선(觀察義禪)·반연여선(攀緣如禪)·여래선(如來禪)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선의 역사에서 주목해야 할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채택된 후기 유식설(唯識說), 특히 호법(護法)의 유식설에 큰 영향을 준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는 중심사상은 무분별(無分別)에 의한 깨달음[覺]이다. 중생은 미혹(迷惑)으로 대상에 집착하기 때문에 과거로부터 쌓아온 습기(習氣)로 말미암아 모든 현상이 스스로의 마음[自心]에 의해서 나타난 것임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의식(意識)의 본성에 의지하여 모든 현상이 스스로의 마음이 나타낸 바임을 철저하게 깨닫는 다면 집착하는 자[能取]와 집착하게 되는 대상[所取]의 대립을 떠나서 무분별의 세계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여래장설도 무아설(無我說)도 무분별의 경지에 이를 수 있는 방편이 된다고 한다. 또한 성스러운 지혜의 작용에 관해서 크게 강조하고 있으며, 무분별을 스스로 체험하는 철저한 깨달음에 의해서만 진리의 전개를 획득할 수 있다는 일관된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밖에도 오법(五法)·삼성(三性)·팔식(八識)·이무아(二無我) 등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밝히고 있다.

이 경은 일찍이 선종(禪宗)에서 많이 채택되었는데, 중국 선종의 제1조인 달마(達磨)가 중요하게 여겼던 것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의 원효(元曉)가 중국의 많은 주석가들에 앞서서 이 경의 중요성을 발굴하여 널리 인용하였다.

이에 관한 원효의 주석서는 ⟪능가경소(楞伽經疏)⟫7권과 ⟪능가경요간(楞伽經料簡)⟫ ⟪능가경종요(楞伽經宗要)⟫ 각 1권 등이 있었으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현존하는 원효의 저술 속에는 이 경이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입증되고 있다. 원효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 경이 크게 유통된 예는 없지만, 최근에는 그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경전의 현존하는 판본으로는 해인사대장경 속의 것과 1636년에 경기도 용복사(龍腹寺)에서 간행한 ⟪능가아발타라보경⟫, 해인사에서 조선 후기에 판각한 ⟪대승입능가경⟫, 명나라 원가(員珂)가 회역(會譯)한 ⟪능가아발타라보경회역(楞伽阿跋陀羅寶經會譯)⟫ 등이 있다.

 

능가경은 인도에서 한동안 유통됐겠지만, 한역된 다음에는 중국 티베트 일본에서 매우 널리 유포되고 특히 선종불교에서 텍스트로 활동됐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경에 밀려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능가란 말은 스리랑카를 뜻한다. 능가경은 서구권에서도 인기가 있고, 주요 대승경전으로 소개되어서 영역되어 있다. 능가경은 여래장 유식파 선종과 깊은 연관 속에 연구 발전된 대승경전이다.

 

여래장은 불성(佛性)과 같은 말이다. 불성은 산스크리트어: Buddha-dhātu)은 '부처[佛]의 본성[性]', '깨달음[佛·보리] 그 자체의 성질[性]', 또는 '부처[佛]가 될 수 있는 가능성[性]'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다. 불성은 여래장(如來藏, 산스크리트어: Tathāgatagarbha)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불성은 산스크리트어 붓다 다투(Buddha-dhātu)를 번역한 것인데, 붓다(Buddha)를 음에 따라 번역한 불(佛)과 다투(dhātu)를 뜻에 따라 번역한 성(性)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낱말이다. 붓다 다투(Buddha-dhātu)는 각성(覺性: 깨달음의 성품)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각성(覺性)은 붓다(Buddh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각(覺)과 다투(dhātu)를 뜻에 따라 번역한 성(性)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낱말이다. 붓다 다투(Buddha-dhātu)는 영어로는 Buddha-nature (부처 성품), Buddha Element (부처 요소) 또는 Buddha-Principle (부처 원리)로 번역된다.

원래 부처는 고타마 붓다(석가모니불)만을 지칭한 것인데, 대승불교에서는 모든 것에는 본래 부처와 똑같은 본성(불성)이 갖추어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대승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에서는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일체의 중생은 모두 불성을 갖는다)이라고 언명하여 이러한 사상을 명백히 표현하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중생의 마음의 구조에 대하여, "마음은 본래 청정하여 부처가 될 수 있는 종자를 갖추고 있으나 우발적·일시적으로 밖으로부터 마음을 더럽히게 하는 근심·걱정에 뒤덮여 더러워져 있을 뿐이다"라고 강조한다. 따라서, 객진(客塵)인 번뇌의 진(塵)을 떨어내어 더러움(汚)이 없어졌을 때가, 즉 부처가 될 종자가 전면적으로 나타나는 때가 곧 깨달음(悟)이며 성불(成佛)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는 대승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입장 중 하나를 이루고 있다.

여래장 사상(如來藏思想)은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교의와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즉 진여연기(眞如緣起)의 교의를 근간으로 하는 대승 불교 중기 이후의 사상이다. 여래상 사상에서는 모든 중생은 본래부터 여래(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 가능성을 여래장이라고 하였다. 여래장은 본질적으로 불성(佛性) 또는 진여(眞如)와 동일한 개념이다.

여래장 사상은 인도에선 유식설보다 먼저 성립되어 대승 불교의 이대 조류인 중관파(中觀派)나 유식파(唯識派)의 사상과는 다른 계통을 이루었으며, 《능가경(楞伽經)》·《밀엄경(密嚴經)》·《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대성되었다.

정현<불이성 한주>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