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간택하지 않으면 된다`

벽암록 제57칙 구절이다.어떤 스님이 조주화상에게 질문했다.`지극한 도는 어려움이 없다.오직 간택하지 않으면 된다`라고 했는데,어떻게 하는 것이 간택하지 않는 것입니까? 조주화상이 말했다. "천상에나 천하에 오직 내가홀로 존귀한 존재이다."스님이 말했다."이 말 역시 간택입니다."조주화상이 말했다."이 멍청한 놈아! 어느 곳이 간택이란 말이냐!"그 스님이 말을 하지 못했다. 간택, 즉 편견과 오해가 번뇌를 불러 수행을 통해 깨닫게 되면 모든 게 道인 것을.

본칙의 선문답은 《심심명》의 첫 구절을 인용하여 선문답의 주제로 삼고 조주화상에게 질문한 것이다. 심심명의 지도무난(至道無難)을 주제로 한 선문답을 조주록에서 인용하여 제시 하고 있다. 어떤 스님이 조주 화상에게 "지극한 도는 어려울 것이 전혀 없다. 오직 취사선택하고 간택하는 분별심이 없으면 지도의 경지`라고 했는데, 어떻게 하는 것이 취사선택 하고 간택하지 않는 것입니까?"라고 질문하고 있다.

심심명에서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다`고 주장할 수 있게 된 것은 지도의 경지를 체득하기까지 많은 불법공부와 수행으로 어려운 문제들을 모두 극복한 차원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불법의 대의와 어려운 과제(難題)를 완전히 제거했기 때문에 지도의 원리를 통달하고 보니 지도의 경지가 지극히 간단명료하고 쉽다는 사실을 파악했기 때문에 그렇게 설할 수가 있는 것이다.

중국의 고전과 선어록에 `도는 가까이 있다.` 눈에 부딪치는 것이 모두 道`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도, 도를 찾아서 여기저기 멀리 헤매며 많은 구도의 노력과 고통과 시간을 극복한 사람이 도를 체득한 뒤에 도는 가까이 있는데 멀리서 찾아 헤맨 사실을 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원오는 `수시`에 백운수단(1025~1072)의 법문을 인용하여 "지극한 대도인 만법의 진실을 체득하기 전에는 만물과 매사가 의문 덩어리로 뭉쳐서 어디를 가나 은산(銀山)처럼 접근하기 어렵고, 철벽(鐵壁)처럼 오르기 힘들어 전후 좌후로 나를 가로막고 있어 뚫고 나가기 어렵다. 그러나 깨닫고 보면 자기 자신이 원래 견고한 절대의 존재라는 사실을 알 수있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은산철벽(銀山鐵壁)은 은과 철은 견고하여 뚫기 어렵고 산과 벽은 험준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것을 말한다. 즉 범정(凡情)과 중생의 분별심으로는 도달하기 어려운 것을 비유한 표현인데, 불가사의한 불심의 경지를 사량분별하는 중생심으로는 파악할 수 없다.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우주의 삼라만상 가운데 三界의 노숙자로 流離乞食하다 맹구우목처럼 어렵사리 태고종도가 되어 어찌하다 종단사태로 마주하게 되었지만 서로간의 예의를 갖추고 서로 미워하지는 말자 世上事 돌고 돌아 어제의 벗이 오늘의 적이 되고 오늘의 원수가 내일의 혈육이 되는 물이 얼어 얼음이 되고 얼음녹아 물이 되듯이 이 세상 영원한 것이 어디있으랴!

한 생각 돌이켜 방하착 하면 모든 이가 평화롭고 廻光返照 이거늘 어찌하여 대립과 반목을 일삼아 법왕의 자식이 마귀의 권속으로 변해가는가? 공연히 平地風波를 일으켜 적적요요 (寂寂寥寥)에 본지풍광 (本地風光)이로다.

법장<총무원 문화부장 겸 편집국장>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