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당전만월용

안양(安養).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무량광불토(無量光佛土).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라고도 한다. 극락은 즐거움만이 있는 곳 [樂有]이며, 이 즐거움은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에 의해서 성취된 깨달음의 즐거움이다. <아미타경 阿彌陀經>에 의하면, 극락세계는 서방으로 기천만 기십만의 국토를 지나서 있는 곳이며, 현재 아미타불이 설법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태어나는 사람은 몸과 마음에 괴로움이 없고 즐거움만이 있다. 이 세계는 일곱 겹의 난순(欄楯),일곱 겹의 타아라 나무기동이 있고, 방울과 금,은,유리,수정의 사보(四寶)로 장식되어 있다. 이 네 가지 보석에 산호,마노,호박,을 더한 칠보로 만든 연못이 있으며, 여기에는 여덟 가지 공덕을 구비한 물과 황금의 모래가 깔려 있다. 또한 하늘에서는 음악이 들리고 대지는 황금색으로 아름다우며, 주야로 세 번씩 천상의 꽃이 떨어진다. 백조,공작,앵무, 등의 새들이 노래를 부르며 이 노래는 그대로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노래로 이 노래를 듣는 자들은 모두 불,법,승의 삼보(三寶)를 생각한다. 이 새들은 모두가 아미타불에 의해 화작(化作)된 것이다. 이 국토에는 지옥,축생(畜生),사신(死神)이라는 명칭이 없고, 깨달음을 얻은 아라한(阿羅漢)이 수없이 많으며, 다음 생에 부처가 될 사람도 한량이 없다.

 

극락을 일반적으로 서방정토라고 하는 것은 인도 사람들이 방위와 시간을 일치시키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인도 사람들은 동쪽으로 서서 앞쪽을 과거, 뒤 쪽을 미래라 한다. 따라서 극락은 내세에 왕생할 세계이며, 그것은 서방에 존재하였던 것이다.

 

또한 사바세계(娑婆世界)와의 거리를'기천만 기십만'등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한역의<아미타경>에서는 십만 억으로 번역되어 있다. 이것은 당시 중국에서 상용된 최대의 숫자가 억 이었기 때문에 먼 거리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세속적인 현실과 단절된 것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합당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0만8000국토를 지나야 극락세계에 이른다는 설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승들은 이를 공간적인 거리로 보지 않고,마음 속에 있는 십악(十惡)과 팔사(八邪)를 없애버리면 곧 극락이 된다고 본다. 곧 살생, 도둑질, 사음과 거짓말, 이간간 붙이는 말, 악담, 유혹하며 속이는 말, 탐욕, 성냄과 어리석은 소견 등의 십악을 고쳐서 십선(十善)으로 바꾸고, 사견(邪見), 사사유(邪思惟), 사어(邪語), 사업(邪業), 사명(邪命), 사방편(邪方便), 사념(邪念), 사정(邪定) 등의 팔사를 팔정도(八正道)로 바꾸면 그곳이 곧 극락세계라고 본 것이다.

 

이는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여기에서 멀지않다 `去此不遠'이라는 가르침에 근거한 것이다. 또한 극락세계에 대한 묘사는 물리적 낙토관(樂土觀)과 함께 심오한 종교적 관념과도 결부되어 있다. 그것은 극락의 주재불인 아미타불이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사람을 구제한다는 가르침이다. 이것은 이타적인 면에서 중생제도를 사명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보살도(菩薩道)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아미타불은 법장보살(法藏菩薩)이었을 때 세운 사십팔원(四十八願)을 성취함으로써 부처가 되었고 극락세계를 이룰 수 있게 된 것이다.이 사십팔원에 근거해서 볼 때, 극락의 왕생을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면서 염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염불이 무아삼매(無我三昧)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하나의 방법이라는 점에서 볼 때,극락은 현실의 사바세계와 공간적 거리를 갖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고승들은 사바세계가 곧 극락정토요,현실세계와 극락세계가 불이(不二)라고 주장하였으며, 현실 속에서 극락세계의 실현을 희구하였던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선종,화엄종, 천태종 등의 종파에서는 만법유심(萬法唯心)의 이치에 의해 자기 마음을 닦아 불성(佛性)을 깨닫는다는 위지 아래, 새로운 극락관인 자성미타유심정토설(自性彌陀唯心淨土說)을 주창하였다.

 

이는 자기 마음 가운데 본래 갖추어져 있는 성품이 아미타불과 다르지 않지만 미혹하면 범부가 되고 깨달으면 부처가 되는 것이며, 아미타불이나 극락정토가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자기 마음 가운데 있다고 본 것이다.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수행법 중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는 것은 <관무량수경>십육관법(十六觀法)과<유마경>의 설이다. 유마경에서는 정토에 태어나는 길이 여덟 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1.중생을 도와주되 아무 것도 바라지 말고 중생을 대신하여 모든 고생을 달게 받을 것, 2.모든 중생에게 대하여 평등하게 겸손할 것, 3.모든 사람을 부처님과 같이 공경할 것,4.모든 경전을 의심하지 않고 믿을 것, 5.대승법(大乘法)을 믿을 것, 6.남이 잘 되는 것을 시기하지 않을 것, 7.자신의 허물만 살피고 남의 잘못을 생각하지 않을 것, 8.늘 온갖 공덕을 힘써 닦을 것 등이다.

 

그리고 정토의 종류로 17가지를 들고 있다. 직심(直心),심심(深心),육바라밀(六波羅蜜),사무량심(四無量心),사섭법(四攝法),십선법(十善法)중 어느 하나라도 완숙하게 성취하면 극락에 왕생한다는 정신적인 정토왕생관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시대 이후로 극락에 왕생하고자 하는 정토신앙이 크게 성행하였다. 신라시대에는 교학적인 측면과 실천적인 측면이 함께 이워졌으며, 고려시대에는 자성미타유심정토의측면에서 종파별로 크게 신행되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승속을 막론하고 내세에 극락왕생하기를 바라는 신앙이 유행하였다. 따라서 사찰의 당우 중에도 극락전(極樂殿, 또는 無量壽殿)이 가장 중요한 법당으로 건립되었으며, 사찰 주위에도 안양교(安養橋)를 두는 등 극락과 관계된 많은 사항들이 수용되었다.

이 처럼 수많은 전쟁과 외세의 침략으로 힘없고 가난한 민초들의 삶은 결국 이상향(理想鄕)의 정토로 자연스럽게 귀의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법장 <총무원 문화부장 겸 한국불교신문사 편집국장>

 

저작권자 © 한국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